ParkSuSeong
2021년 8월 28일 토요일
5)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프레임워크(DashBoard 구현에 필요한 Grafana, Prometheus, influxDB 등)
›
1편 Bigdata Architecture, 2편 Hadoop, 3편 Spark, 4편 Scheduler에 이어서 5편은 무슨 주제로 포스팅을 할까 하다가.. Hive나 Hue같은 부가적인 프레임워크보다는 시각화를 먼저 쓰는게 좋다고 문득 생각이 들었...
댓글 2개:
Hive Error) Cannot insert into target table because column number/types are different
›
Hive에 Insert를 할 때 이런 에러를 볼 수 있다. target table은 partition table이고 source 테이블보다 컬럼이 한개(div_col)가 더 많다. 대충 Insert 구문은 이런식으로 작성을 했다. INSERT O...
2021년 8월 22일 일요일
4)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하여.. 배치 스케쥴러(airflow, azkaban, oozie)
›
2, 3포스팅을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하둡과 처리하는 스파크가 세팅되있다면 이제 정기적으로 작업를 수행할 수 있는 배치 스케쥴러가 필요하다. 스케쥴러란 정기적으로 원하는 시간에 특정 작업(스크립트 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다. 자동화를 잘...
댓글 4개:
2021년 8월 21일 토요일
3)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하여.. 데이터를 처리를 위한 Spark
›
지난 포스팅에서 하둡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최초 하둡을 세팅하고부터는 사실상 전체 리부팅을 할 일이 거의 없고 데이터를 열심히 사용하고 관리를 하게 된다. 이렇게 열심히 모은 데이터를 이제 처리를 해야한다. 빅데이터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여러가지 이...
2021년 8월 1일 일요일
2)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하여.. 하둡을 알아보자
›
전 포스팅(1편)에서 BDP를 큰 관점에서 훑어보았는데 개인적인 사정으로 2편이 조금 늦어졌다. 그래도 시작한 김에 꾸준히 연재해보고자 한다. 데이터가 부각되면서 저장소의 개념과 종류도 많아지고 여러가지를 적재적소에 조합하여 사용하는 시대가 왔다. 기...
2021년 6월 27일 일요일
1)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하여.. 데이터 스토리지 관점에서의 흐름
›
최근 몇 년동안 AI, ML, DL이 뜨면서 BDP라는 용어의 사용이 뜸해졌다. 그렇다고하여 빅데이터라는 영역이 많이 시들해졌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판이다. 오히려 더 발전하고 견고해지면서 당연 시 여기는 현재라고 보는게 맞다. 당연히 데이터 작업을...
2021년 1월 25일 월요일
Spark Read Parquet - Timestamp and Timezone Confusion
›
Spark 배치에서 Parquet File을 데이터를 읽을 때 timestamp가 +0900시간이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timezone 문제인데 처음에는 win server to linux 마이그레이션 문제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txt로 ...
댓글 2개:
‹
›
홈
웹 버전 보기